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Tags
- 공공데이터
- SQLD / SQLP
- Python
- Codeup
- HAVING 절
- Python 3
- 응용
- BOJ
- level1
- Java11
- 백준
- Codeforces Round #802 (Div. 2)
- baekjoon
- 기초
- pypy3
- 자바
- 파이썬
- 코딩테스트
- JAVA 11
- programmers
- 개념
- 명품 자바 프로그래밍
- 단계별로 풀어보기
-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
- 이론
- SELECT 절
- 기본
- 기초100제
- GROUP BY 절
- java
Archives
- Today
- Total
Development Project
[ 2021 NIPA AI - 기본 ] 1. 핵심 파이썬 기초 프로그래밍 (01~05) + α 본문
01 파이썬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재료
ㆍ 입력 『 input( ) 』 => ex) 「 받을 문자 형식( input("문장")) 」
- 하나
-
num = int(input("숫자 입력 : ")) #int없이(형변환없이) 받아오면 문자열 print(num)
-
- 여러
- 한 변수에 전체저장
- 리스트
-
num = input("숫자 입력 : ").split() #숫자 입력 : 3 4 5 print(num) #['3', '4', '5']
-
- 문자열
-
b = input("국어, 영어, 수학 : ") #국어, 영어, 수학 : 80 85 70 print(b) #80 85 70 print(type(b)) #<class 'str'>
-
- 리스트
- 각 변수에 따로저장
- split( 구분할 문자 )
-
a, b, c = input("숫자 입력 : ").split() #숫자 입력 : 3 4 5 print(int(a)) #3 print(int(b)) #4 print(int(c)) #5
-
- eval( 분리할 문자열 )
-
b = input("국어, 영어, 수학 : ") #80, 70, 60 k1, k2, k3 = eval(b) print(k1) #80 print(k2) #70 print(k3) #60
-
- split( 구분할 문자 )
- 한 변수에 전체저장
ㆍ 출력 『 print("문장") 』
- 문장은 큰/작은 따옴표 안에 작성해야함
print("문장") #문장 print('문장') #문장
- 출력할 문장에 따옴표(' ', " ")가 있는 경우,
- 큰 따옴표로 출력할 전체 문장을 감싸고 있다면, 작은 따옴표에 문장을 넣기
-
print("Hello 'World'!") #Hello 'World'!
-
- 작은 따옴표로 출력할 전체 문장을 감싸고 있다면, 큰 따옴표에 문장을 넣기
-
print('Hello "World"!') #Hello "World"!
-
- 출력할 따옴표 앞에 \ 넣기
-
print("Hello \"World\"!") #Hello "World"
-
- 큰 따옴표로 출력할 전체 문장을 감싸고 있다면, 작은 따옴표에 문장을 넣기
- 다른 문자열사이 공백 O / 한줄에 출력 / 다른 문자형 가능 ) 콤마[ , ] 사용
-
print(3, "Hello", 45) #3 Hello 45
-
- 다른 문자열사이 문자열을 넣을 수 있는 sep 속성
-
print(3, "Hello", 45, sep="") #3Hello45 print(3, "Hello", 45, sep=" ^-^ ") #3 ^-^ Hello ^-^ 45
-
- print() 이후 커서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end 속성
-
print(3, "Hello", 45, end="") # ① Interactive Mode : #3 Hello 45>>> ② 그 외 : #3 Hello 45 print(3, "Hello", end="") print(5, "World") #3 Hello 5 World
-
- 다른 문자열사이 공백 X / 한줄에 출력 / 다른 문자형 불가능 ) 더하기[ + ] 사용
-
print("Hello"+"World") #HelloWorld
-
- 다른 문자열사이 공백 X / 한줄에 출력 / 다른 문자형 가능 ) 문자열 형식화
- % 이용
-
print("오늘은 %d일입니다."%18) #오늘은 18일입니다. print("저는 %s 입니다!"%"\"나를 위한 시간\"") #저는 "나를 위한 시간" 입니다!
-
- format() 메서드 이용
-
print("저는 {}입니다.".format("나를 위한 시간")) #저는 나를 위한 시간입니다. print("저는 {{{}}}입니다.".format("나를 위한 시간")) #저는 {나를 위한 시간}입니다. print("오늘은 {1}월 {2}일이고, {0}년입니다.".format(2021, 10, 19)) #오늘은 10월 19일이고, 2021년입니다.
-
- % 이용
ㆍ 기본 자료형
=> 무슨 자료형인지 모를땐 『type(변수이름)』 / 형변환 : 『원하는자료형(변수이름)』
- int
- 형 변환시 int( )는 소숫점 밑의 자리를 버림 ( 반올림 X )
- float
- 참고) 실수+실수는 반올림 오차 존재
print(0.1+0.2) #0.30000000000000004
(원래는 InteractiveMode만 원본이고 나머진 반올림한 0.3을 보여줘야 하는데 PyCharm도 위와 같이 출력함 ? )
- 참고) 실수+실수는 반올림 오차 존재
- str
- bool
- list (여러 자료형 가능 / 순서 존재)
- tuple
- dic
- set
- 주석
- 한줄 : #
- 여러줄 : """ """, ''' '''
ㆍ 변수
- 변수 =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
- 변수 생성 규칙
- 영어, 한글 등 각 나라 문자와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.
-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
-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부터 시작하면 안된다.
- 특수 문자(+, -, *, /, $, @, &, %등)는 사용할 수 없다.
-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
=> 즉, 영어와 한글, 각 나라 언어, 숫자, 언더바는 사용가능하지만 숫자로 시작은 불가능하다!
02 특정 조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조건문
ㆍ 논리자료형과 비교연산
- bool (논리 자료형)
- True(참) or False(거짓)
- 비교 연산자
- ==(같다), !=(다르다), >, <, >=, <=
ㆍ 논리자료형을 활용한 연산
- and == 전부 True면, 결과값 True
-
print(3==3 and 4<=5 and 6>2) #True
-
- or == 하나라도 True면, 결과값 True
-
print(3==3 or 4<=5 or 6>2) #True
-
- not == False에 붙으면 True, True에 붙으면 False
-
print(not 3==4) #True
-
ㆍ 조건문
if 조건 1: # 조건 1 True 이면
do A # A 실행
elif 조건 2: # 조건 1 False and 조건2 True 이면
do B # B 실행
elif 조건 3: # 조건 1 False and 조건2 False and 조건3 True 이면
do C # C 실행
. . .
else: # 모든 조건이 False 이면
do Z # Z 실행
예시)
number = int(input("숫자를 입력 하세요 : "))
if number >= 1000:
print("세 자릿수 이상")
elif number >= 100:
print("세 자릿수")
elif number >= 10:
print("두 자릿수")
elif number >= 1:
print("한 자릿수")
else:
print("자연수를 입력 하세요.")
03 반복되는 명령을 줄여주는 반복문
ㆍ for문
- 문자열 사용
-
for letter in “Hi there”: print (letter, end=" ") #H i t h e r e
-
- 리스트 사용
-
for i in [1,3,5,7,9]: print(i, end =" ") #1 3 5 7 9 for almond_taste in ["corn", "injeolmi", "honeyButter"]: print(almond_taste, "taste", end = ", ") #corn taste, injeolmi taste, honeyButter taste,
-
- range(처음숫자, ~까지[*결과값과 일치 X], 간격) 함수 사용
-
for i in range(1, 10, 2): print(i, end =" ") #1 3 5 7 9
-
ㆍ while문
num = int(input("지나가던 행인에게 빌려줄 돈의 액수를 입력 : "))
while num>0: #조건 만족시 반복문 수행
print("점점 거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.")
num = int(input("지나가던 행인에게 빌려줄 돈의 액수를 입력 : "))
print("거지를 면했습니다")
ㆍ 반복문 조절 명령어
- continue
-
for dayOfWeek in range(1,6): #난 숫자 1 싫어! if dayOfWeek == 3: #난 숫자 2 싫어! print("난 숫자 3이 좋아!") #난 숫자 3이 좋아! continue #난 숫자 4 싫어! print("난 숫자", dayOfWeek, "싫어!") #난 숫자 5 싫어!
-
- break
-
print("오늘은 운동장을 5바퀴 뛰쟈!") for finishing in range(1,6): if finishing == 4: print("띵동댕동~~") print("앗 종이 쳤네.. 다음에 다시 뛰어야겠다 \n어서 교실로 돌아가쟈!") break; print("오예~!", finishing, "바퀴 완주했어~") #오늘은 운동장을 5바퀴 뛰쟈! #오예~! 1 바퀴 완주했어~ #오예~! 2 바퀴 완주했어~ #오예~! 3 바퀴 완주했어~ #띵동댕동~~ #앗 종이 쳤네.. 다음에 다시 뛰어야겠다 #어서 교실로 돌아가쟈!
-
04 파이썬에서 자료를 담는 여러가지 방식
ㆍ List(리스트) == [ 항목, ... ]
- 짝꿍 X / 순서 O / 중복 O / 수정 O 항목들의 모임
- 리스트 생성
- 직접
-
a = [1, 2, 3] print(a) #[1, 2, 3]
-
- 문자열
-
print(list("Python")) #['P', 'y', 't', 'h', 'o', 'n']
-
- range( 처음숫자, 가까운 숫자, 차이 )
-
print(list(range(1,50,5))) #[1, 6, 11, 16, 21, 26, 31, 36, 41, 46]
-
- 직접
- 리스트 조작
- 추출 (원본 유지)
- <시퀸스의 특징> 인덱싱 == 리스트이름[ 자리 ]
-
a = ["A", "BC", 1, 3.5] print(a[0]) #A print(a[-1]) #3.5 print(a[0] + str(a[3])) #A3.5 print(a[0]*3 + str(a[2])) #AAA1
-
- <시퀸스의 특징> 슬라이싱 == 리스트이름[ 추출한 처음 자리 : 마지막 자리 -1 ]
-
a = ["Apple", "Banana", "Peach", "Melon"] print(a[1:3]) #['Banana', 'Peach'] print(a[-1:1]) #[] # 숫자 X == 전부 print(a[1:]) #['Banana', 'Peach', 'Melon'] print(a[-3:]) #['Banana', 'Peach', 'Melon'] print(a[:3]) #['Apple', 'Banana', 'Peach'] print(a[:-3]) #['Apple']
-
- <시퀸스의 특징> 값 확인
-
a = [1, 2, 3, 4, 5] print(3 in a) #True print(6 in a) #False print(6 not in a) #True
-
- index( 추출할 자료 ) == 자료의 처음 위치 < 인덱싱과 반대 >
-
a = ["a", "b", "c", "d", "c"] print(a.index("c")) #2
-
- <시퀸스의 특징> len( 리스트 ) == 리스트 요소의 수
-
a = ["a", "b", "c", "d", "c"] print(len(a)) #5
-
- count( 추출할 자료 ) == 자료의 개수
-
a = ["a", "b", "c", "d", "c"] print(a.count("c")) #2 print(a.count("f")) #0
-
- <시퀸스의 특징> 인덱싱 == 리스트이름[ 자리 ]
- 변경 (원본 훼손)
- 수정
- 인덱싱 활용
-
a = ["a", "b", "c", "d", "e"] a[0] = 0 print(a) #[0, 'b', 'c', 'd', 'e']
-
- 슬라이싱 활용
-
a = ["a", "b", "c", "d", "e"] a[1:3] = [1, 2, 3, 4] print(a) #['a', 1, 2, 3, 4, 'd', 'e']
-
- sort( ) == 오름차순 정렬 < *원본을 변경 / 반환값 X >
-
a = [10, 5, 4, 9, 27] a.sort() #"print(a.sort())" and "b=a.sort()" don't work properly. print(a) #[4, 5, 9, 10, 27]
-
- reverse( ) == 내림차순 정렬 < *원본을 변경 / 반환값 X >
-
a = [10, 5, 4, 9, 27] a.reverse() #"print(a.reverse())" and "b=a.reverse()" don't work properly. print(a) #[27, 9, 4, 5, 10]
-
- 인덱싱 활용
- 추가
- append( 자료 ) == 단 한개의 자료만을 마지막 원소 뒤에 추가
-
a = ["a", "b", "c"] a.append("f") print(a) #['a', 'b', 'c', 'f'] a.append([1, 2, 3, 4]) print(a) #['a', 'b', 'c', 'f', [1, 2, 3, 4]] a.append("Hello") print(a) #['a', 'b', 'c', 'f', [1, 2, 3, 4], 'Hello']
-
- insert( 위치, 자료 ) == 단 한개의 자료만을 원하는 위치에 추가
-
a = ["a", "b", "c"] a.insert(1, "f") print(a) #['a', 'f', 'b', 'c'] a.insert(3, [1, 2, 3, 4]) print(a) #['a', 'f', 'b', [1, 2, 3, 4], 'c'] a.insert(15, "Hello") print(a) #['a', 'f', 'b', [1, 2, 3, 4], 'c', 'Hello']
-
- extend( 자료 ) == 새로운 리스트를 마지막 원소 뒤에 추가
-
a = ["a", "b", "c"] a.extend("f") print(a) #['a', 'b', 'c', 'f'] a.extend([1, 2, 3, 4]) print(a) #['a', 'b', 'c', 'f', 1, 2, 3, 4] a.extend("hello") print(a) #['a', 'b', 'c', 'f', 1, 2, 3, 4, 'h', 'e', 'l', 'l', 'o']
-
- append( 자료 ) == 단 한개의 자료만을 마지막 원소 뒤에 추가
- 삭제
- remove( ) == 같은 값이 존재한다면, 앞의 값을 지움
-
a =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 a.remove('a') print(a) #['b', 'c', 'd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
-
- del 명령어 == 해당 위치의 값을 지움
-
a =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 del a[0] print(a) #['b', 'c', 'd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 del a[0:3] print(a) #['e', 'f', 'g', 'a', 'b', 'c']
-
- 슬라이싱
-
a =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 a[1:4] = [] print(a) #['a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
-
- * 리스트 안에 리스트는 가능하므로 인덱싱으로 삭제 불가
-
a =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 a[0] = [] print(a) #[[]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, 'a', 'b', 'c']
-
- remove( ) == 같은 값이 존재한다면, 앞의 값을 지움
- 수정
- 추출 (원본 유지)
ㆍ Tuple(튜플) == ( 항목, ... )
- 짝꿍 X / 순서 O / 중복 O / 수정 X 항목들의 모임
- 튜플 생성
- 직접
-
a = (1, 2, 3) print(a) #(1, 2, 3)
-
- 문자열
-
print(tuple("Python")) #('P', 'y', 't', 'h', 'o', 'n')
-
- range()
-
print(tuple(range(1, 50, 5))) #(1, 6, 11, 16, 21, 26, 31, 36, 41, 46)
-
- 리스트
-
a = [1, "가", 2, "나"] b = tuple(a) print(b) #(1, '가', 2, '나')
-
- 직접
- 튜플 조작
- 추출 (원본 유지) == 튜플은 원본훼손 불가능
- <시퀸스의 특징> 인덱싱 == 튜플이름[ 자리 ]
-
a = ("A", "BC", 1, 3.5) print(a[0]) #A print(a[0] + str(a[3])) #A3.5 print(a[0]*3 + str(a[2])) #AAA1
-
- <시퀸스의 특징> 슬라이싱 == 튜플이름[ 추출한 처음 자리 : 마지막 자리 -1 ]
-
a = ("Apple", "Banana", "Peach", "Melon") print(a[1:3]) #('Banana', 'Peach') # 숫자 X == 전부 print(a[1:]) #('Banana', 'Peach', 'Melon') print(a[:3]) #('Apple', 'Banana', 'Peach')
-
- <시퀸스의 특징> 값 확인
-
a = (1, 2, 3, 4, 5) print(3 in a) #True print(6 in a) #False print(6 not in a) #True
-
- index( 추출할 자료 ) == 자료의 처음 위치 < 인덱싱과 반대 >
-
a = ["a", "b", "c", "d", "c"] print(a.index("c")) #2
-
- <시퀸스의 특징> len( 튜플 ) == 리스트 요소의 수
-
a = ("a", "b", "c", "d", "c") print(len(a)) #5
-
- count( 추출할 자료 ) == 자료의 개수
-
a = ("a", "b", "c", "d", "c") print(a.count("c")) #1 print(a.count("f")) #0
-
- Packing, Unpacking (튜플만) == 여러 값을 묶고, 풀기
-
pack = 1, 2, 3, 4, 5, "A", "B" #Packing a, b, *c = pack #Unpacking, 나머지를 리스트로 묶을땐 <*변수> print("a = %d, b = %d,"%(a, b),"c =", c) #a = 1, b = 2, c = [3, 4, 5, 'A', 'B']
-
- <시퀸스의 특징> 인덱싱 == 튜플이름[ 자리 ]
- 추출 (원본 유지) == 튜플은 원본훼손 불가능
ㆍ Dictionary(딕셔너리) == { Key0 : Value0, ... }
- 짝꿍 O / 순서 X / Key 중복 X / 수정 O 항목들의 모임
- *Key는 변할 수 없는 자료형! (변수 또는 튜플 가능, 리스트 불가)
- 딕셔너리 생성
- 직접
-
person = {'name':'Michael', 'age':10} print(person) #{'name':'Michael', 'age':10}
-
- 직접
- 딕셔너리 조작
- 추출 (원본 유지)
- 하나
- 하나의 Key => 하나의 Value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print(a["Key"]) #Value print(a[1]) #one print(a[2.22]) #2.22 print(a[(3, 4)]) #34 print(a[3]) #[1, 2]
-
- Key 여부 확인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print("Key" in a) #True print("Value" in a) #False print((3,4) in a) #True print(1 not in a) #False
-
- Value 여부 확인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print(a.get("Key")) #Value print(a.get("Value")) #None print(a.get((3, 4))) #34
-
- 하나의 Key => 하나의 Value
- 전체
- Key만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print(a.keys()) #dict_keys(['Key', 1, 2.22, (3, 4), 3])
-
- Value만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print(a.values()) #dict_values(['Value', 'one', 2.22, 34, [1, 2]])
-
- Key, Value 같이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print(a.items()) #dict_items([('Key', 'Value'), (1, 'one'), (2.22, 2.22), ((3, 4), 34), (3, [1, 2])])
-
- Key만
- 하나
- 변경 (원본 훼손)
- 수정
- 추가
-
a = {"Key0": "Value0", "Key1": "Value2"} a['Key2'] = "Value2" print(a) #{'Key0': 'Value0', 'Key1': 'Value2', 'Key2': 'Value2'}
-
- 삭제
- del 명령어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del a[3,4] print(a) #{'Key': 'Value', 1: 'one', 2.22: 2.22, 3: [1, 2]}
-
- pop( Key값 ) == 값 추출 후에 딕셔너리에서 해당 값 삭제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b = a.pop(3) print(a) #{'Key': 'Value', 1: 'one', 2.22: 2.22, (3, 4): 34} print(b) #[1, 2]
-
- clear( 딕셔너리 ) == 초기화
-
a = {"Key": "Value", 1: "one", 2.22: 2.22, (3, 4): 34, 3: [1, 2]} a.clear() print(a) #{}
-
- del 명령어
- 수정
- 추출 (원본 유지)
ㆍ Set(집합) == { 항목, ... }
- 짝꿍 X / 순서 X / 중복 key X / 수정 O 항목들의 모임
- 집합 생성
- 직접
-
a = {1, 2, 3, 2, 3, 4} print(a) #{1, 2, 3, 4}
-
- 문자열
-
print(set("Python")) #{'t', 'n', 'y', 'P', 'o', 'h'}
-
- range( 처음숫자, 가까운 숫자, 차이 )
-
print(set(range(1,50,5))) #{1, 36, 6, 41, 11, 46, 16, 21, 26, 31}
-
- 직접
- 집합 조작
05 같은 듯 다른 함수와 메서드
ㆍ 함수 vs 메서드
- 함수
- 특징
- 결과 값을 변수에 대입 O
- 독립적으로 정의되므로 이름으로만 호출이 가능!
- 함수가 메소드보다 더 포괄적인 의미
- 구조
- 입력값을 주면 이를 처리하여 결과 값을 리턴
- 종류
- 내장함수
- input( )
- print( )
- max( )
- min( )
- sum( )
- len( )
- ...
- 사용자 지정 함수 ( 입력 == 매개변수 / 처리 == 함수내용 / 결과 == 반환값 )
-
def 함수이름(매개변수): <수행할 명령> #들여쓰기 필수! ... #들여쓰기 필수! return 반환값 #들여쓰기 필수!
-
- 내장함수
- 특징
- 메서드
- 특징
- 결과 값을 변수에 대입 X
- 객체와 연관되어 사용됨 => .(점)으로 연결!
- 클래스 및 객체에 연결되어있는 함수 == 클래스 내에 선언된 함수
- 이름으로만 호출되지 않고, 정의된 클래스의 참조에 의해 클래스를 호출해야함!
- 특징
'AI > Ed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2021 NIPA AI - 기본 ] 3.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파이썬 데이터분석 프로젝트 - 2. 지하철 승하차 인원 정보를 활용한 역별 혼잡도 분석 (0) | 2021.12.16 |
---|---|
[ 2021 NIPA AI - 기본 ] 3.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파이썬 데이터분석 프로젝트 - 1. 코로나 데이터 분석하기 (0) | 2021.12.16 |
[ 2021 NIPA AI - 응용 ] 2. 딥러닝 시작하기 (01~05) + α (0) | 2021.12.13 |
[ 2021 NIPA AI - 응용 ] 1. 머신러닝 시작하기 (01~05) + α (0) | 2021.12.11 |
[ 2021 NIPA AI - 기본 ] 2. 데이터 분석을 위한 라이브러리 (01~05) + α (0) | 2021.10.22 |
Comments